기초노령연금 모의 계산방법 (기초연금)

기초노령연금 모의 계산

기초노령연금은 만 65세 이상 이신 분들이 읍면동에 신청을 하시면 자산을 조사한 후 하위 70%의 어르신께 지급이 되는 기초연금입니다

오늘은 기초노령연금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건데요 몇 가지 선택사항을 선택해주시면 쉽게 확인을 해볼 수 있습니다

기초노령연금

신청대상자

2023년 만 65세가 되는 어르신은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EX) 생일이 1958 4월인 어르신은 3월 1일부터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고 4월분부터 기초연금을 지급한다고 합니다

신청방법

방문신청은 시 주소지 관할 상관없이 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공단지사)

온라인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서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2023년 달라진 점

01. 2022년도에 소득인정액에 180만원 초과하신 분들은 받지 못했던 기초연금을 2023년에는 소득인정액이 202만원을 넘지 않으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02. 또한 노인기초연금은 원래 30만 7,500에서 32만 3,180원으로 인상이 되었다고 하는데요 (소비자물가상승률 반영)

여기서 말하는 소득인정액이란 노인가구의 근로소득과 연금소득 그리고 재산 및 부채를 합산한 금액을 말합니다

  •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03. 기초연금에 대해서 더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국번없이 129 (보건복지부 상단센터) 또는 국번없이 1355 (국민연금 상담센터)를 통해 문의를 주세요

또한 직역연금 등 수급권자와 그 배우자는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합니다

기초노령연금 모의계산

01. 기초노령연금은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서 모의계산이 가능합니다 기본정보와 소득정보 재산정보를 통해서 모의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

기초노령연금 모의 계산 방법

02. 복지로 홈페이지에 들어오셨다면 복지서비스에 있는 모의 계산 > 기초연금에 들어가시면 계산을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기본정보

03. 기본정보에 들어가시면 가구유형과 거주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가구유형은 단독가구/부부가구가 있고 거주지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중 하나를 선택해주세요

소득정보

04. 소득정보입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그리고 재산소득 및 공적이전소득과 무료임차소득이 존재합니다 해당 되는 정보들은 모두 입력을 해주세요

이제 마지막으로 재산정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재산정보는 많은 메뉴들이 존재하는데요 건축물과 토지 및 항공기 회원권 및 자동차와 금융재산 부채 등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재산정보

05. 다양한 재산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곳입니다 건축물과 토지 등 해당되는 항목들은 모두 입력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모두 다 입력을 하셨다면 모의계산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구유형과 소득 재산 부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소득인정액을 확인할 수 있고 수급대상자로 선전이 될 가능성도 빠르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 방법 정리

  • 복지로 홈페이지에 방문
  • 복지서비스 > 모의계산 > 기초연금 이동
  • 기본정보와 소득정보 그리고 재산정보 입력
  • 결과보기를 통해 결괏값 확인

✅ 추천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