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근세 계산기 세율 및 조견표
갑근세에 대해서 알고있으신가요 저는 생전 처음 듣는 말이여서 처음 듣고는 되게 당황을 했는데요 갑근세는 소득세의 일종인 갑종근로소득세의 줄임말이라고 합니다
갑근세는 대한민국 기업에서 받는 근로소득은 갑종 근로소득으로 분류되고 외국인에게 급여를 받는 경우 을종 근로소득으로 분류되어 갑근세는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이 글도 도움이 되요
갑근세 계산기 이용방법
01. 갑근세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계산기를 사용하면 편리하게 갑근세를 알수있습니다 홈텍스에는 갑근세 계산기를 제공해주는데요
따라서 홈텍스 홈페이지에 방문을 하신 뒤에 갑근세 계산기를 사용해보시면 되겠습니다

02. 홈페이지에 들어오시면 조회/발급 메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해당 메뉴를 선택해주시면 메뉴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간이세액표를 선택해주시고 “근로소득간이세액표”를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에서 갑근세 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

03. 갑근세 계산기로 이동을 하셨다면 월급여액과 전체 공제대상 가족 수 및 전체 공제대상 가족중 7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 수를 선택 후 조회를 눌러주세요

04. 월급 입력결과는 총 3가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80%와 100% 그리고 120% 중에서 기본은 100%를 기준으로 잡는다고 합니다 근로자에게 고르라고 하는 곳도 있는데 보통 100%를 잡으시면 되겠습니다
300만원을 기준으로 100% 선택 시 소득세는 84,850원이며 지방소득세는 8,480원입니다 납부세액의 합계액은 93,330원으로 잡으시면 되겠습니다
✅ 방법정리
- 홈텍스 홈페이지 접속
- 조회/발급 선택
- 간이세액표에서 근로소득간이세액표 선택
- 월급여액과 공제대상 가족 수 선택
- 아래쪽 조회하기 후 갑근세 파악
계산방법

계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근로소득금액과 과세표준산출 그리고 결정세액에 따라서 소득세를 직접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계산방법 정리
- (A) 근로소득금액 : 연간 근로소득 총금액 – 근로소득공제
- (B) 과세표준산출 : 연간 근로소득 총금액 – 근로소득공제
- 결정세액 : B에 대한 세금 – 근로소득세액공제
(A) 근로소득금액 계산방법
근로소득공제를 계산할 때는 근로소득 공제 표를 참고하여 계산을 해야 합니다 만약 월급이 300만원이라고 했을 때 연 소득은 3600만원입니다 이 후 여기서 근로소득공제 금액을 빼면 되겠습니다
- 표를 참고하면 750만원 + {(3600-1500만) X 0.15} = 1065만 원입니다
- 근로소득금액은 3600만-1065만 = 2535만원입니다

(B) 과세표준 산출 : 근로소득금액 – 공제
- 인적공제 : 같은 경우 본인 1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150만원입니다
- 국민연금 : 162만원입니다 (총 소득 4.5%)
- 특별소득공제 : 424만원 아래에 있는 표를 참고 해주세요
- 2535만원-150만-162만원-424만=1799만원입니다

(C) 결정세액 계산 : 과세표준 대한 세금 – 근로소득세액공제
- 과세표준에 따른 세율 (아래 표)
- 799만원 X 0.15-126만원=143.85만원
최종 결정세액 = 1,438,500만원- 71만원 = 728,500원입니다 갑근세는 12로 나눈 60,708원입니다 현재 년도와 조금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
1400만원 이하 | 6% | – |
1400 ~ 5000만원 | 15% | 126만 |
5000 ~ 8800만원 | 24% | 576만 |
8800 ~ 1.5억원 | 35% | 1632만 |
1.5억원 ~ 3억원 | 38% | 1994만 |
3억 ~ 5억원 | 40% | 2594만 |
5억 ~ 10억원 | 42% | 3594만 |
19억 초과 | 45% | 6594만 |
참고 ) 근로소득세액공제 계산방법
- 3300만원 이하의 경우 : 74만원까지
- 3300~7000만원 구간에서는 : 74만원 – {(총급여액-3300만)X0.008} 혹은 66만원
- 7000만원 초가시에는 50만원 혹은 66만 – {총급여-7000만)X50%)}